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1. 국가상징
  2. 어린이·청소년
  3. RSS
  4. ENGLISH

외교부

간부

차관보, 중동 문제 국제 세미나 환영사 겸 기조연설(10. 16.)

작성일
2014-10-16
조회수
3819

Remarks by H.E. Lee Kyung-soo
Deputy Minister for Political Affairs, MOFA, Republic of Korea

1st International Seminar on Middle Eastern Affairs, October 16, 2014

Experts on the Middle East from Korea and around the world,
Your Excellencies, the Diplomatic Corps in Korea,
Our colleagues in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Distinguished Guests,
I warmly welcome all of you.
 
There is widespread recognition that today's crisis in the Middle East poses a great threat to international security. Recent crises can be seen as crises at three levels depending on how a country has absorbed the impacts of the political transition called as the "Arab Spring."

The first level of crisis is that of political transition. The impact of the political change to dismantle the monopoly of political power and economic interests has been absorbed successfully in Tunisia, where civil society was relatively active. On the other hand, Libya's political experiment has been damaging the statehood due to armed conflicts between various tribes. Yemen also is facing internal division and terrorism such as Al-Qaeda.

The second level is the crisis in Syria where political change led to all-out sectarian war. The Assad regime, for the sake of its own survival, has replaced the national call for a decent life for the people with sectarian conflicts between the Sunni and the Shiite and the domination of terrorist groups.
The third level of crisis is the rise of violent terrorism and radicalism as a result of a lingering civil war in Syria. Chaos in Syria has served as a hotbed for the Islamic State of Iraq and the Levant (ISIL). ISIL, well trained in Syria, has become a pressing threat not only to Iraq but also to other neighboring nations, including Turkey, Lebanon and Jordan. Furthermore, 15,000 Foreign Terrorist Fighters from around 80 countries have sent another wake-up call to the entire world.

In addition to these new crises, the Israel-Palestine conflict, a central issue of the Middle East, is yet to be resolved, as demonstrated in the recent Gaza crisis. Furthermore, the world is hoping for a comprehensive agreement on the Iranian nuclear program, but the parties concerned are far from bridging the gap on major issues.

Distinguished Guests,

Those with an interest in the Middle East often ask when it started to go wrong and what caused those conflicts and chaos in the first place. Some refer to a 1,400-year-long sectarian conflict between the Sunni and the Shiite. Others blame the Sykes-Picot Agreement of 1916, which demarcated the border without considering tribes and sects after the collapse of the Ottoman Empire. Others point to the interference and intervention of the West as seen in the Iraq War.

The cause of the current crisis warrants deeper thought. However, in no case should the reshaping or change of the current borders be considered an option. Drawing the borderlines along sectarian or ethnic lines may look like an easy solution from the outside, yet it would rather bring violence and suffering for the people in the region, and is highly likely to lead to greater conflict and bloodshed. Options that aggravate or mobilize sectarian or ethnic conflicts cannot under any circumstances be a solution. In addition, as seen in the crucial role Egypt played in mediating the cease-fire in the recent Gaza crisis, the issues in the Middle East should be addressed primarily by the parties concerned and the countries in the region. Their voices should be most respected and clearly heard.

Above all, Arab exceptionalism, which means that democracy cannot succeed in the Middle East, should not emerge in the face of this instability. We Koreans are very well aware that even Korea, which successfully achieved democracy within a short time, took several decades to lay the basis for democracy. This is only the first step for the Middle East countries on the long journey to democracy. We need to support the establishment of a culture of nonviolence and tolerance and to foster an identity as one nation rather than simply adhering only to the sense of identity of each individual sect.

Distinguished Guests,

The impact of the situation in the Middle East is also felt in Northeast Asia. This can be seen in how the United States’ global strategy of a “Rebalancing to Asia” is impacted, whether directly or indirectly, by the nation’s policy on the Middle East to deal with frequently emerging crises. In addition, the way that major countries define their national interests and cooperate with other nations in the Middle East can be applied to security issues in Northeast Asia and other regions. As such, Northeast Asian nations including Korea, need to give deep thought to the situation in the Middle East.

Furthermore, Korea imports as much as 89% of energy from the Middle East and has entered into contracts for a substantial 40% of foreign construction projects in 2013.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Middle East is a lifeline of the Korean economy. For this reason, our relationship with the Middle East has been mainly forged with a focus on economic cooperation. However there are expectation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at the Republic of Korea now play a greater role with regard to the region. For our part, we also feel that our unique experience of moving beyond the times of colonization and war to successfully achieve economic development and democracy is a form of common ground we feel with the Middle Eastern nations.

Against this backdrop, the Korean Government has announced our policy direction of expanding our Middle Eastern policy in both scope and depth, defined as “building a comprehensive partnership for New Horizons.” Accordingly, we are expanding the scope of our cooperation with the region from the traditional economic cooperation to encompass the political, diplomatic and cultural realms, as we seek to build multi-level and multidimensional relations.

In line with such efforts, we are clearly expressing our stance on Middle Eastern affairs and seeking to play a valuable role in addressing Middle East issues as a member of the Security Council. We are also strengthening high-level exchanges, as exemplified by meetings with Egypt, Iran, and Iraq on the sidelines of the UN General Assembly this year. Furthermore, we are deepening cooperation with regional organizations, such as the Gulf Cooperation Council (GCC) and the League of Arab States. In addition, the appointment of a permanent representative in Palestine, hosting of Iftar dinners to forge bonds with Muslims, launch of the Korean Middle East experts' group, the MENA Club, and this seminar on Middle Eastern affairs are all key instances of our Government’s efforts to build closer ties with the Middle East and g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region.

Distinguished Guests,

Issues in the Middle East are indeed those of Northeast Asia, and of the whole world. Recognizing this, my Government plans to hold this seminar annually on a larger scale from next year. I look forward to this seminar, held in Northeast Asia, a region to which relations with the Middle East are of vital importance, developing into a leading forum in terms of finding solutions to the issues in the Middle East and reflecting on the relations between the two regions.

“The real voyage of discovery consists not in seeking a new landscape, but in seeing the world with new eyes,” a French novelist once wrote. I hope that this seminar held in Korea far from the Middle East shall contribute to us seeing the Middle East with “new eyes” and that the lively debate at today’s seminar will be invaluable in pursuit of this goal.

Thank you.    /End/

-------------------------------------------------------------------------------------------------------


이경수 차관보

중동 문제 국제 세미나 환영사 겸 기조연설


금일 세미나에 참석해주신 국내외 전문가 여러분,
주한 대사님을 포함한 외교단 여러분,
외교부 직원 여러분, 환영합니다.

오늘날 중동의 위기가 국제안보를 위협하고 있다는 것은 모두의 공통된 인식일 것입니다. 최근의 위기는 ‘아랍의 봄’으로 불리는 정치적 전환의 충격을 어떻게 흡수해왔느냐에 따라 “세 가지 차원”으로 구별해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첫 번째 차원은 정치전환의 위기입니다. 정치적 권력 및 경제적 이권의 독점을 깨기 위한 정치적 전환의 충격은 시민 사회가 상대적으로 활발했던 튀니지에서는 성공적으로 흡수되고 있으나, 리비아에서는 부족 경계를 따라 국가가 분열되어 무력 갈등에 이르렀으며, 예멘도 내부 분열과 알카에다 등 테러리즘과 맞서고 있습니다.

두 번째 차원의 위기는 정치전환이 심각한 종파갈등으로 비화한 시리아 내전입니다. 아사드 정권은 생존을 위해 인간다운 삶을 위한 국민들의 요구를 시아와 순니파의 종파 갈등으로, 테러리스트의 발호로 대체시켰습니다.

세 번째 차원의 위기는 시리아 내전의 장기화로 인한 폭력적 테러리즘과 극단주의의 발호입니다. 시리아내 혼란은 ISIL 발호의 온상이 되었으며, 여기서 단련된 ISIL은 이라크 뿐 아니라 터키, 레바논, 요르단 등 인근 국가 모두에게 위협이 되고 있습니다. 아울러 약 80여개국 출신 만 오천여명의 외국인 테러 전투원(FTF)의 존재는 ISIL의 발호가 바로 전 세계 안보위협임을 일깨워 주고 있습니다.

이러한 새로운 위기외에도 2천여명의 민간인의 목숨을 앗아간 가자사태에서 보듯이 핵심적인 중동 문제인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문제도 진전을 이루지 못하고 있습니다. 국제사회의 우려중 하나인 이란 핵프로그램 협상 타결에 대한 기대가 무르익고 있지만, 아직 주요 쟁점에 대한 입장차를 좁히지 못하고 있습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현재 중동을 지켜보는 이들은 도대체 무엇이 언제부터 잘못되었는지 반문하게 됩니다. 혹자는 1,400년에 이르는 순니, 시아파간 종파 갈등이 근본 원인이라고 합니다. 또 다른 이는 오스만 터키 붕괴이후 부족과 종파의 존재를 무시하고 국경을 그은 사이크스-피코 협정을 탓하기도 합니다. 또한 혹자는 이라크전으로 대표되는 서방의 간섭과 개입을 그 원인으로 보기도 합니다.

현재의 위기의 원인을 따져보아야 하겠지만, 어떠한 경우에도 현재 국경과 현 상황을 변경하는 것이 대안이 되어서는 안된다고 봅니다. 외부인에게 손쉬운 대안으로 보이는 종파나 민족에 따른 국경의 재구성이 그 구성원들에게는 매우 폭력적이고 고통스러운 과정이라는 사실을, 이러한 과정에서 더 큰 갈등과 유혈사태를 야기할 가능성이 높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될 것입니다. 역내 갈등을 해결하고 지원하는 방식이 종파갈등과 민족갈등을 악화시키지 않도록 하여야 할 것입니다. 그리고 금번 가자사태 해결과정에서 이집트가 핵심적 역할을 한데서도 보듯이 중동의 문제는 해당국과 역내국가들의 의견이 가장 중요시되어야 하며 존중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무엇보다도 중동의 위기를 지켜 보는 과정에서 중동에서는 민주주의가 싹틀 수 없다는 ‘아랍 예외주의(Arab exceptionalism)’가 다시 대두되어서는 안된다고 봅니다. 최단기간내 민주화를 이룩한 것으로 평가받는 한국의 경우에도 민주주의의 기초를 마련하기 위해 수 십년이 필요했음을 우리는 잘 알고 있습니다. 중동은 민주주의를 위한 첫걸음을 이제 내디뎠습니다. 민주주의의 토대가 되는 비폭력과 관용의 문화, 종파를 넘어서는 국민으로서의 정체성을 강화해나가도록 국제사회가 지원하여야 할 것입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중동의 정세는 동북아의 정세에도 밀접히 관계되어있습니다. 미국의  '아시아재균형정책(Rebalancng to Asia)'은 빈발하는 중동의 위기를 다루기 위한 미국의 대중동정책에 의해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받습니다. 주요 국가들이 중동에서 자국의 이익을 정의하고, 여타국과 협력하는 양상은 동북아 등 여타 지역 안보문제에도 적용해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차원에서 우리를 포함한 동북아 국가는 중동정세를 깊이있게 천착할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한국은 2013년 기준 전체 원유수입의 89.3%를 중동으로 부터 수입하고 있으며, 전체 해외건설 수주액의 40%를 중동으로 부터 수주하고 있습니다. 중동은 한국 경제의 생명선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이러한 이유로 과거 우리의 대중동 관계는 경제협력을 위주로 추진되었으나, 이제는 국제사회가 중동 문제와 관련하여 우리에게 기대하는 역할이 커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우리로서도 식민지배와 전쟁을 겪고 경제발전과 민주화를 달성한 우리의 독특한 경험이 중동국가들과 교감할 수 있는 토대가 될 것임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배경에서 우리정부는 과거의 우리 중동 정책의 폭과 깊이를 확대하여 “새로운 지평을 향한 포괄적 파트너십 구축”으로 중동 정책의 기본 방향을 발표한 바 있습니다. 경제적 협력 관계 중심의 대중동 관계를 정치, 외교, 문화 등으로 확대하여 다층적, 다면적 관계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제반 중동문제에 대한 우리의 입장을 표명해나가고 있으며, 안보리 비상임 이사국으로서도 역할을 다하고 있습니다. 금년 유엔 총회계기 우리의 이집트, 이란, 이라크 등과의 고위 접촉에서 보듯이 고위 인사 교류를 강화하고, 걸프협력이사회, 아랍연맹 등 역내 기구와의 대화 채널 구축을 통해 지역 기구와의 협력도 강화하고 있습니다.

주팔레스타인 상주 대표의 임명, 이슬람과 좀 더 가깝게 공감하기 위한 이프타르 만찬 연례 개최, 국내 중동 관계자들과의 적극적 아웃리치를 위한 MENA Club의 출범, 그리고 금일 중동 문제 세미나 개최가 바로 중동에 대한 깊이 있는 교류와 이해를 넓히기 위한 우리 정부의 노력의 일환입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중동의 문제는 바로 동북아의 문제이며, 전 세계의 문제입니다. 이러한 인식을 기반으로 우리 정부는 내년부터 보다 확대된 규모로 중동문제 국제세미나를 매년 개최할 예정입니다. 중동과의 관계가 긴요한 동북아 지역에서 최고의 중동문제 전문가들이 모여 중동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하고, 중동-동북아간 관계를 깊이 있게 성찰해보는 권위있는 포럼으로 키워나가고자 합니다.

“참된 발견은 새로운 땅을 발견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눈으로 보는것”이라고 프랑스의 한 소설가가 이야기 하였습니다. 멀리 한국에서 개최되는 세미나가 중동문제 해결을 위한 “새로운 눈”으로서 기여하게 되기를 바라며, 금일 여러분들의 열띤 토론이 향후 중동문제 해결의 주춧돌이 되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끝.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